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부교공 면접
- 코레일
- 김윤상
- 객관식 경영학
- 객관식 경영학 정오표
- 김윤상 객경 정오표
- 모듈형 #산인공 #산업인력공단 #ncs #예시문제 #해설
- 2024 부산교통공사 면접
- 강웅
- 산업인력공단 #산인공 #ncs #모듈형 #정오표
- 노경찬
- 객경
- 부산교통공사
- 무협
- 신입사원 채용
- 아비무쌍 #오존
- 부교공
- 아비무쌍
- 토르마무
- 천소소
- sas base
- 에듀윌특별판
- 에듀윌 봉모
- 금강마신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268)
나루다루
18. 신제품 개발과정에 관한 다음의 내용 중에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. 답: a,b d) 시장 테스트는 제품출시(시판) 후에 소규모로 실시된다. -> 여기서 "제품출시"는 시판(시중판매)를 말하고, 신제품 개발과정의 마지막인 "출시"에 해당한다. (시)제품 생산과 제품 출시를 헷갈리지 말자!
23번. 다음 STP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답:2번 5) 차별적 마케팅은 비차별적 마케팅보다 총 매출액이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. O -> 일반적으로 비차별적 마케팅에 비해서 차별적 마케팅의 이익이 높다. 왜냐하면 특정 고객들을 상대로 더 매력 있는 제품을 팔 수 있기 때문이다. (차별적 마케팅의 요건이 갖춰졌을 때)
6번 정답지에 해설 부분이 약간 짤려있다. 2) 심리적 기준은 혁신성향과 보수성향, 순응성향과 반항성향 등 심리를 기준으로 장을 구분한다. 4) 소비자의 행동적 기준에 사용량에 따라서 소비자를 구분할 수 있는데 볼륨세분화는 대분류인 구매행동 기준 내의 중분류에 속하는 기준이다.
책을 보다가 의문이 드는 문제들이 몇 개 있어서 정오표를 찾아봤는데 내가 못 찾는건지.. 정오표가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문제 풀면서 이상하다 싶은 부분들을 모아봤다. (계속 추가예정) 1) 5-4. 시장세분화와 목표시장 선정. OX문제 -> 11번. 답 : X 2) 5-4. 시장세분화와 목표시장 선정. 객관식 6번 -> 해설 오탈자 1) 5-2. 시장기회 분석. 객관식 14번 -> 모두 오답(3번이 논란) 2) 5-1-1. 마케팅 믹스의 개발. 객관식 30번 -> 답 : 2,3번
OX문제 11) 집중적 마케팅 전략은 각 세분시장의 차이를 무시하고 단일(혹은 소수의) 제품으로 전체시장에 접근하는 것이다. X 정답지에는 O라고 적혀 있다. 하지만 정답은 X 집중적 마케팅이 아니라 비차별적 마케팅이다. 이에 대해서는 뒤에 객관식 문제를 보면 알 수 있다. P445 10번. 세분시장간의 차이를 무시하고 하나의 제품으로 전체 시장을 공략 - 무차별 마케팅 P448 22번. 4) 집중적 마케팅 전략은 각 세분시장의 차이를 무시하고 단일(혹은 소수의) 제품으로 전체시장에 접근하는 것이다. X -> 해설 : 각 세분시장의 차이를 무시하고 단일(혹은 소수의) 제품으로 전체시장에 접근하는 것은 비차별적 마케팅
14. 마케팅 조사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? 위 문제에 대해서 정답지에 모두 오답이라고 표시되어 있어서 CPA 해설을 찾아봤다. 보기 1,2,4,5번은 확실히 오답이기 때문에 넘어가고, 3번을 살펴보면 3) 전화설문기법은 표본 범주를 통제하기가 용이하다. CPA 시험에서는 3번을 정답으로 낸 것이라 추측되지만, 학자들마다 의견이 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모두 오답으로 처리했다고 보여진다. 전수환쌤은 전화설문기법은 표본 범주를 통제하기가 용이하다고 설명하는 반면, 다른 쌤들은 용이하지 않다라고 설명하고 있다. 어쩔 수 없이 2개 다 외워두고... 만약 문제에 나오면 세모 치고 다른 보기들을 봐야할듯 싶다 ㅠㅠ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ri7q/btqHAnAy7Wa/Zjc5zqv5JKVhFkpGxUwF0k/img.png)
전공 없이 NCS만 보는 채용공고를 둘러보던 중 발견한 비스텝! 처음 보는 기관이였지만, 연봉도 괜찮고 무엇보다 일단 시험을 처보자는 마인드로 접수했다. 가장 큰 건 자소서가 적부라는 것 ㅋㅋ 직렬은 연구개발사업 기획·관리 [필기] 필기시험은 벡스코에서 진행했고, 대략 3~400명 정도가 접수한거 같다. 결시율은 대략 20%정도? 12명(6배수) 뽑으니까 경쟁률은 20:1정도라고 생각했다. 50문제에 60분을 줬던거 같고, 출제기관은 마이다스아이티라고 하는데 확실하지는 않다. (AI면접 주관하는 곳) NCS 문제 난이도는 쉬웠다. 특히 후반부 정보파트는 죄다 똑같은 유형이라서.. 시간 내에 풀 수 있느냐, 그리고 정확도가 높으냐의 싸움이였다. 나름 시험 잘본거 같아서 기대를 하고 있었는데.. 요렇게 메일..
난이도 : 중 틀린개수 : 38/50 틀린문제 : 4, 7, 11, 12, 14, 24, 26, 28, 40, 42, 44, 48 총평 : 모듈형 문제 중에 괜찮은 문제와 사례들이 많았다. 사례들을 꼭 외워야겠다 - 수리(계산) 문제는 어렵지는 않았다. 다만 익숙하지 않으면 시간이 많이 걸리겠다는 느낌 [문제 리뷰] 2. 직접비와 간접비 구분법 다시 한번 생각해보기 4. 코칭과 임파워먼트의 개념. 코칭을 통해 직원들을 효과적으로 임파워먼트 시킬 수 있다. 포함관계는 아님 - 코칭과 임파워먼트 둘 다 권한위임이라는 공통점이 있음 6. 직장 내 괴롭힘. 문제 자체는 쉬웠으나, 추후에 따로 정리해야 할 내용이다 7. 역량개발 : 자기평가 -> 자기이해 -> 자기개발 - 평가와 이해의 순서가 헷갈린다. 암기해둬..